티스토리 뷰
"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 종류별 비교 및 주의사항"
안녕하세요. real-tree의 Life Story 시간입니다. 오늘은 이전 포스팅에서 예고했던 것처럼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"코로나 19 바이러스 종류별 비교 및 주의사항"라는 제목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대한 포스팅을 시작해보겠습니다.
이전 포스팅에서는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 접종 예약 및 접종 순서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. 만약 백신 접종 예약과 순수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대한민국에는 총 4가지의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
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은 종류별로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, 각 종류별 특성을 알고있으면 접종 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은 제작되는 과정에 따라서 헥산백신과 백터백신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.
헥산백신은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접종을 통해서 직접 몸 속에 주입하는 mRNA 백신이고, 백터백신은 바이러스를 코로나 19 유전자와 결합시킨 다음 접종을 통해서 몸 속에 주입하는 바이러스 백터 백신입니다. 두 가지 형태 중 어떤 종류가 더 좋다고는 판단할 수 없습니다.
그리고 무엇보다 이전에도 알려드렸던 것처럼 우리가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 접종을 예약할 수 는 있지만, 원하는 백신으로 접종 받을 수 는 없습니다. 첫 번째,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은 '화이자(코미 나티주)'입니다. 제조사는 화이자 및 바이오엔텍이고, 헥산백신 플랫폼으로 제작되었습니다.
화이자 백신은 근육주사 형태로 만 16세 이상 연령에게만 접종하며 접종횟수는 3주 간격으로 2회 백신 접종해야 합니다. 임상실험 결과로는 임상 3상 시험 결과에서 95%의 예방효과를 보여주었다고 발표되었습니다. 화이자 백신의 특이사항으로 보관온도가 -90℃ ~ -60℃로 보관에 용이하지 않습니다.
두 번째,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은 '모더나(모더나)'입니다. 헥산백신 플랫폼으로 제작되었으며, 근육주사 형태로만 18세 이상 연령에게만 접종가능하고, 4주 간격으로 2회 백신 접종해야 합니다. 임상실험 결과로는 94.5%의 예방효과를 가졌다고 발표 되었습니다.
모더나 백신은 화이자 백신과는 다르게 2℃ ~ 8℃에서 30일 동안 공급이 가능하여 유통과정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. 그리고 백신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개봉 후 실온 기준 6시간 동안에 투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도 사용하기 용이한 코로나 백신입니다.
세 번째,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은 '아스트라제네카(한국아스트라제네카 코비드-19백신)'입니다. 바이러스 백터백신 플랫폼으로 제작된 제품으로 근육주사 형태로 만 18세 이상 연령에게만 접종 가능하고, 8주에서 12주 간격으로 2회 백신 접종을 해야 합니다.
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임상시험 결과는 투약 방법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. 90%의 예방효과를 보여준 결과도 있지만, 그렇지 못한 결과도 있기에 평균적으로 70%의 예방효과로 다른 코로나 백신들에 비하면 예방효과가 낮은 편에 속하고 있습니다.
하지만,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실온(30℃ 이하)에서 개봉 후 6시간 동안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, 보관과 유통 과정 모두 2℃ ~ 8℃, 6개월간 보관이 가능합니다. 다른 백신들에 비하면 예방효과가 낮지만 사용에는 가장 좋은 코로나 백신입니다.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1차 접종이후 4주 이후부터 2차접종이 가능합니다.
마지막 네 번째,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은 '얀센(얀센)'입니다. 아스트라제네카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 백터백신 플랫폼으로 제작되었고, 해외에서는 만 18세 이상, 국내에서는 만 30세 이상 연령에게만 접종하, 유일하게 단 1번의 접종만으로 끝나는 코로나 백신입니다.
얀센 백신의 임상시험 결과는 67%의 예방효과를 기록하였습니다. 얀센 백신의 경우에는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코로나 19 바이러스 백신 중 가장 낮은 예방효과를 가지고 있지만, 단 1회의 접종만으로 끝나기 때문에 최근 접종 대란까지 있었습니다. 단, 보관 온도가 -20℃로 제한사항이 있습니다.
'Life Sto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나필락시스 쇼크 증상 대응법 (0) | 2021.06.21 |
---|---|
대상포진 초기증상 전염성 (0) | 2021.06.18 |
백신 접종 후 타이레놀 효능 부작용 (0) | 2021.06.16 |
백신 접종 후 주의사항 (0) | 2021.06.14 |
코로나 백신 접종 예약 순서 (0) | 2021.06.10 |